데살로니가후서 1장 1-12절 강해 [하루말씀]

데살로니가후서 1장 1-12절 강해 [하루말씀]

[성경말씀]

1절 바울과 실루아노와 디모데는 하나님 우리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데살로니가인의 교회에 편지하노니 2절 하나님 아버지와 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은혜와 평강이 너희에게 있을지어다 3절 형제들아 우리가 너희를 위하여 항상 하나님께 감사할지니 이것이 당연함은 너희의 믿음이 더욱 자라고 너희가 다 각기 서로 사랑함이 풍성함이며 4절 그리고 너희가 견디고 있는 모든 박해와 환난 중에서 너희 인내와 믿음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여러 교회에서 우리가 친히 자랑하노라

5절 이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표요 너희로 하여금 하나님의 나라에 합당한 자로 여김을 받게 하려 함이니 그 나라를 위하여 너희가 고난도 받으리니 6절 너희로 환난을 받게 하는 자들에게는 환난으로 갚으시고 7절 환난을 받는 너희에게는 우리와 함께 안식으로 갚으시는 것이 하나님의 공의시니 주 예수께서 자기의 능력의 천사들과 함께 하늘로부터 불꽃 가운데에 나타나실 때에 8절 하나님을 모르는 자들과 우리 주 예수의 복음에 복종하지 않는 자들에게 형벌을 내리시리니

9절 이런 자들은 주의 얼굴과 그의 힘의 영광을 떠나 영원한 멸망의 형벌을 받으리로다 10절 그 날에 그가 강림하사 그의 성도들에게서 영광을 받으시고 모든 믿는 자들에게서 기이히 여김을 받으시리라 우리의 증거가 너희에게 믿어졌음이라 11절 이러므로 우리도 항상 너희를 위하여 기도함은 우리 하나님이 너희를 그 부르심에 합당한 자로 여기시고 모든 선을 기뻐함과 믿음의 역사를 능력으로 이루게 하시고 12절 우리 하나님과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대로 우리 주 예수의 이름이 너희 가운데서 영광을 받으시고 너희도 그 안에서 영광을 받게 하려 함이라

[하루말씀]

데살로니가교회에 바울의 편지가 전해진 이후에 재림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습니다. 그런데 더나아가서 생계를 팽개치고 재림의 날만 기다리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상황이 오게 됩니다. 그래서 이를 바로 잡기 위해 전해진 두 번째 편지가 데살로니가후서입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 교회 공동체의 신앙적인 성숙을 칭찬합니다. 데살로니가교회 성도들은 믿음의 성장이 빨랐고 또한 서로 사랑함도 풍성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서 4절,“너희가 견디고 있는 모든 박해와 환난 중에서 너희 인내와 믿음으로 말미암아” 여러 교회와 우리가 친히 자랑한다고 말합니다. 특히 데살로니가교회가 가진 참된 소망은 단순히 재림만 바란 것이 아니라 “모든 박해와 환난”을 인내와 믿음으로 견뎠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이 사실로 인하여 주님이 다시 오시는 날 주님은 우리를 핍박하던 자들에게 그에 합당한 심판을 행하시고 핍박받은 우리에게는 위로와 구원을 베푸실 것입니다. 따라서 재림은 믿음을 온전히 지킨 성도들에게 주님의 공의로운 심판이 펼쳐지는 소망의 날이 됩니다.

특별히 하나님의 공의는 7절, 환난을 받는 우리에게는 우리와 함께 안식으로 갚으시는 것이라고 말씀합니다. 즉 주 예수께서 자기의 능력의 천사들과 함께 하늘로부터 불꽃 가운데 나타나셔서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자들과 우리 주 예수의 복음에 순종하지 않는 자들을 심판하실 때 이뤄진다는 것입니다. (RSV)

유대인이라도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뜻을 알지 못하면 모르는 자들이고 예수의 복음에 순종하지 않는 자들은 하나님께 순종하지 않는 자들이기 때문에 결국 불신자와 다름이 없습니다. 그들이 당할 심판은 9절 말씀과 같이 주님앞에서 그리고 주님의 권능에서 떨어져 나가 영원한 멸망의 형벌을 받게 될 것입니다. 즉, 불신자는 주님의 임재 가운데 들어올 수 없습니다. 믿지 않는 자는 주님이 없는 세상속에서 영원히 살게 될 것입니다.

반면 하나님은 주님을 믿는 성도들에게 영광과 찬송을 받으실 것입니다. (10) 세상은 그리스도를 멸시하고 버렸지만 믿음의 백성은 심판의 주, 승리의 왕으로 다시 오실 예수님은 성도들에게 영광과 찬송을 받으실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의 증거가 너희에게 믿어졌음이라”는 말씀은 믿음이 연약한 성도들에게 확신을 심어 줍니다.

그러므로 주님의 백성들이 하나님의 영광과 안식을 얻을 종말이 있기에 항상 그 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항상 기도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12절 ‘우리 주 예수의 이름이 너희 가운데서 영광을 받으시고 너희도 그 안에서 영광을 받게 하려 함이라’ 주님의 은혜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영광 올려드리는 삶은 이 땅에서 받는 영광보다 고난을 당할 때가 더 많습니다. 그러나 성도의 고난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표시이고 동시에 그리스도의 영광에 동참하는 것임을 기억해야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환난이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아시고 하나님을 향한 소망으로 오늘도 믿음의 경주를 잘 이루어내는 우리 모두가 되길 축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