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배경73] 이적 기적 표적의 차이 1 [성경배경73] 이적, 기적, 표적의 차이](https://bible2u.com/wp-content/uploads/2023/08/성경문화.webp)
[성경배경73] 이적 기적 표적의 차이
이적(mriacle) 문자적으로는 ‘자연 법칙을 거슬러 발생하는 사건’이다. 즉, 초자연적이고 초이성적인 사건을 주로 이적이라 한다. ‘기사'(wonder)는 놀랍고 신비로운 일에 강조점이 있다. 즉 나타난 현상보다는 나타난 현상을 보는 자의 입장에서 일컬어진다. ‘표적'(sign)은 이적이나 어떤 사실을 설명(증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적
성경에서 이적이 많이 나타난 때를 시기적으로 보면
- 출애굽에서 가나안 정착 시기
- 엘리야와 엘리사 선지자 시기
- 바벨론 포로시기
-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 시기
이 가운데서도 가장 대표적인 이적은 단연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부활이다. 하나님이 죄인을 구원하시기 위해서 사람의 육신을 입고 세상에 오신 사건이나 십자가에 달려 죽으신 그리스도께서 사망 권세를 깨뜨리시고 부활하신 사건은 다른 어떤 것과도 비교하기 어려운 이적 중의 이적이다. 이와 더불어 구약성경이 2천여년 전에 걸쳐 예언한 메시야 도래의 약속이 신약에서 이루어졌다는 사실 또한 대단한 이적이다. 한편 성경에서 이적은 주로 하나님의 백성을 보호하기 위해(단 3:19-27), 하나님을 더욱 신앙하기 위해(출 14:21-31), 하나님의 사역자의 권위를 세워 하나님의 뜻을 드러내기 위해(출 4:21), 하나님의 나라의 확장과 복음 증거를 위해(마 10:1), 종말론적으로 사탄을 쫓아내고 메시야 왕국의 통치를 실현하기 위해(마 12:28) 베풀어졌다. 그러나 성경에는 하나님으로부터 기인하지 않은 마귀가 나타내는 이적도 있다(막 13:22). 이런 이적은 스스로 자기를 높이며 하나님을 대적하고 하나님 나라를 파괴할 목적으로 사용되었다(요일 4:1-3).
표적 (sign, miracle)
이 기적은 ‘초자연적인 능력에 의해 외부로 나타난 현상’을 말한다. 히브리어로는 ‘오트’로서 ‘~에 표를 하다’, ‘신호(표지)로 표시하다’는 뜻의 동사 ‘아마’에서 유래한 말이며 표시, 신호, 징조를 뜻한다.
표적과 관련하여 사용된 용례는 구약성경에서는 노아 대홍수 후의 무지개, 아브라함의 할례, 출애굽 전날 밤 집 문설주에 발라진 어린 양의 피, 라합의 집에 드리워진 붉은 줄, 하나같이 진리를 입증하거나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수단이다. 한편 신약에서는 예수님께서 메시야이심을 드러내는 수단으로서의 이적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출처 : 성경문화배경사전 (생명의 말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