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29장 19-28절 화목제 요제 거제[하루말씀]

출애굽기 29장 19-28절 화목제 요제 거제[하루말씀]

[성경말씀]

19 너는 다른 숫양을 택하고 아론과 그 아들들은 그 숫양의 머리 위에 안수할지며 20 너는 그 숫양을 잡고 그것의 피를 가져다가 아론의 오른쪽 귓부리와 그의 아들들의 오른쪽 귓부리에 바르고 그 오른손 엄지와 오른발 엄지에 바르고 그 피를 제단 주위에 뿌리고 21 제단 위의 피와 관유를 가져다가 아론과 그의 옷과 그의 아들들과 그의 아들들의 옷에 뿌리라 그와 그의 옷과 그의 아들들과 그의 아들들의 옷이 거룩하리라 22 또 너는 그 숫양의 기름과 기름진 꼬리와 그것의 내장에 덮인 기름과 간 위의 꺼풀과 두 콩팥과 그것들 위의 기름과 오른쪽 넓적다리를 가지라 이는 위임식의 숫양이라 23 또 여호와 앞에 있는 무교병 광주리에서 떡 한 개와 기름 바른 과자 한 개와 전병 한 개를 가져다가

24 그 전부를 아론의 손과 그의 아들들의 손에 주고 그것을 흔들어 여호와 앞에 요제를 삼을지며 25 너는 그것을 그들의 손에서 가져다가 제단 위에서 번제물을 더하여 불사르라 이는 여호와 앞에 향기로운 냄새니 곧 여호와께 드리는 화제니라 26 너는 아론의 위임식 숫양의 가슴을 가져다가 여호와 앞에 흔들어 요제를 삼으라 이것이 네 분깃이니라 27 너는 그 흔든 요제물 곧 아론과 그의 아들들의 위임식 숫양의 가슴과 넓적다리를 거룩하게 하라 28 이는 이스라엘 자손이 아론과 그의 자손에게 돌릴 영원한 분깃이요 거제물이니 곧 이스라엘 자손이 화목제의 제물 중에서 취한 거제물로서 여호와께 드리는 거제물이니라

[하루말씀]

# 하나님께서 세우시는 제사장이 되기 위해서 준비해야 될 것

첫 번째, “하나님만 섬기는 제사장이어야 합니다.
두 번째, 과거를 기억하며 누룩이 들어가지 않는 무교병을 만들어야 합니다.
세 번째, 회막문에 들어가기 앞서 물로써 정결해져야 합니다.
네 번째, 주님이 만드신 제사장의 의복을 입어야 합니다.
다섯 번째, 거룩한 관유를 머리에 부어 성령충만함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영적 예배를 드려야 됩니다. 그래서 거룩한 산 제물로써 자신을 드리는 의식을 갖습니다. 이것을 위해서 먼저 속죄제를 행합니다. 속죄제는 죄를 고백하는 의식입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희생 짐승에게 죄를 전가 하도록 허락하셨습니다. 그래서 수소에게 안수하여 자기들의 죄를 담당케 합니다. 그리고 수소를 죽여 그 향기로 제사를 드립니다. 이것은 하나님께 드리는 온전한 예물입니다.

이제 두 마리의 숫양중에 한 마리를 끌고 와서 숫양의 머리에도 안수하고 그것을 죽입니다. 그러나 수소와 달리 수양의 피는 번제단 위와 주위에 골고루 뿌려집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행하시고 약속하시는 죄를 사해 주시는 의식입니다. 이 의식을 통해서 제사장들은 진실로 회개해야 합니다. 그리고 숫양 전부를 제단 위에 불사르며 숫양 전부를 하나님께 드리듯이 내 자신을 하나님께 드리는 의식을 갖습니다.

그런데 이 번제는 한번만 드리는 것이 아니라 매일 아침과 저녁 두 번 드렸습니다. 그래서 하나님 앞에서의 온전한 믿음을 향기로운 냄새로 곧 화제로 모든 백성들과 함께 매일 같이 내 자신을 드려야 합니다.

# 19절부터는 두 번째 수양을 가지고 <화목제물>로 드립니다.

이 양도 마찬가지로 머리 위에 안수합니다. 그리고 숫양을 죽인 다음에 그것의 피를 가져다가 아론과 아들들의 오른쪽 귓 부리에 바릅니다. 귓부리는 ‘귀의 끝 위’입니다. 그리고 그들의 오른손 엄지와 오른발 엄지에 발랐습니다. 여기에서 오른 쪽을 강조하는 이유는 성경적으로 오른쪽이 견고하거나 영원함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시 16:8) 내가 여호와를 항상 내 앞에 모심이여 그가 나의 오른쪽에 계시므로 내가 흔들리지 아니하리로다

숫양의 피를 바른 이유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데 귀를 기울이고 손으로 제사 드릴 때 실수가 없게 하며 발로 행동하는데 삼가 조심히 하라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남은 피는 제단 주위에 뿌리고 거룩한 관유를 가져다가 제단 위의 피와 섞어서 아론의 옷과 그의 아들들의 옷에 뿌렸습니다.

이것은 공의를 상징하는 ‘피’와 ‘성결’을 상징하는 ‘기름’을 섞어서 제사장들이 앞으로 성결히 행하며 나아가서 주님앞에서 공의를 행하기 위해 구별된 직분자들임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두 번째 숫양은 앞서 드렸던 수소와 마찬가지로 각을 떠서 나눴습니다. 양의 기름과 *기름진 꼬리1대근동지방의 양들은 꼬리 부분이 발달했으며, 심지어 꼬리 무게가 2.3kg~9.3kg에 이르는 것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목자들 가운데는 양의 꼬리를 보호하기 위해 얇은 나무판으로 감싸두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Herodotus, Gesenius) 이 양의 꼬리 부위는 수분과 기름기가 많아서 고기가 부드러웠으므로 매우 귀하게 여겨졌는데, 그런 의미에서 위임식 화목 제사에서는 이 꼬리 부위 역시 하나님께 드려졌다. 그것의 내장에 덮인 기름과 간 위의 꺼풀과 두 콩팥과 그것들 위의 기름과 오른쪽 넓적다리로 나눕니다. 이것들은 이 동물이 생명을 가지고 살도록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부위로 특별히 드려졌습니다.

이 마지막 숫양은 위임식의 마지막 의식으로써 화목 제사로 드려집니다. 화목제는 살롬의 의미를 갖습니다. 죄로 인해 멀어졌던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화평을 누리는 제사입니다. 그래서 이 숫양은 예배를 완성하는 숫양 곧 봉헌예물로 드려졌습니다.

그리고 24절, 요제의 제물로 무교병 광주리에서 떡한개와 기름바른 과자 한 개와 전병 한 개를 가져다가 그 전부를 아론의 손과 그의 아들들의 손에 주고 그것을 흔들어서 하나님께 요제를 삼았습니다. 이것은 쉽게 말해, 임명장 같은 역할을 해줍니다.

특별히 요제는 흔들어 드리는 제사입니다.

이 요제는 제사장만 행했는데 그 이유는 하나님께서 주시는 제사장의 몫이기 때문입니다. 제사장은 이 제물을 가지고 위아래 또는 좌우 사방으로 크게 네 번 휘두른 뒤 내려놓았습니다. 이때 사방을 향해 흔드는 이유는 하나님께 모든 것을 다 드렸습니다는 것을 표현하는 행동입니다.

그리고 25절. 이제 제사장들의 손에 들렸던 요제물을 가져다가 번제단 위에 타고 남았던 숫양의 제물 위에 올려놓고 불사르라 말씀합니다. 이것을 통해 하나님 앞에 향기로운 냄새로 또한 화제로써 그 전부를 완전히 드릴 것입니다. 그리고 26절에, 하나님께서 모세를 가리켜 이렇게 말씀합니다. ‘너는 아론의 위임식 숫양의 가슴을 가져다가 여호와 앞에 흔들어 요제를 삼으라 이것이 네 분깃이니라’ 지금 이 말씀은 위임식을 인도한 제사장에게 주는 요제물을 말씀합니다. 그러나 이 때의 위임식을 인도하는 사람은 모세였기 때문에 모세에게 제사장이 받아야 할 분깃 곧 숫양의 가슴을 주겠다 말씀하는 것입니다.

특히 속죄제를 제외한 모든 제사의 제물 가운데 일부분은 항상 제사장의 몫 번제시에는 희생 짐승의 가죽이(레 7:8) 할당되었고, 가루로 드리는 소제시에는 불태워진 소제물 외에 남은 곡식이(레 2:3) 화목 제사 때에는 요제로 드려진 제물의 가슴과 거제로 드려진 제물의 우편 뒷다리가 (레 7:30-34) 속죄제나 속건제시에는 화제로 드려진 제물 이외의 나머지 고기(레 7:6)가 할당되었습니다.

제사장은 일평생 하나님 섬기는 일만 하기 때문에 그들의 최저생계수단이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이제 모세가 흔든 요제물 27절에는 숫양의 가슴과 넓적다리라 기록합니다. 그러니까 실제로 모세가 받은 요제물은 숫양의 가슴뿐만 아니라 넓적다리도 포함됩니다. 이 가슴과 넓적다리를 각각 요제와 거제로 드렸습니다. 요제는 흔드는 것이고 거제는 높이 들어 올려지는 것입니다.

이렇게 모세가 대표자로서 요제와 거제를 드리게 하시고 또 대표자로서 이 제물을 분깃으로 받게 하시며 또한 하나님께 모든 백성들이 거제로서 하나님을 찬양하고 경배하면서 하나님 앞에 첫 위임 예배를 완전하게 거룩하게 마치게 하십니다. 이로써 하나님이 주시는 화평의 즐거움을 온 백성들이 누리게 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와 언제나 화목하길 바라시고 이로써 평안과 평강을 우리에게 주시는 분이심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주님의 은혜와 평강 속에서 살길 소망하며 함께 기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