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적 관점에서의 의와 의인에 대하여 [성경배경98]

성경적 관점에서의 의와 의인에 대하여

성경적 관점에서의 의와 의인에 대하여 [성경배경98] 1. 의(righteousness)에 대하여 사전적으로 ‘의’란 윤리.도덕적으로 착한 행실이나 정직한 삶의 규범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살아가는 사람을 의로운 사람이라 부릅니다. 성경에서 말하는 ‘의’는 단순한 도덕적 선행이나 사회적 정의를 넘어선, 하나님의 본질적인 속성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거룩한 성품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죄를 미워하고 부패를 배척하는 하나님의 성품을 드러냅니다. 하나님은 이 의로 세상을 … 더 읽기

에베소 아데미 축제 [성경배경97]

에베소 아데미 축제

에베소 아데미 축제 [성경배경97] “사도행전 19장 21-41절” 에베소의 아데미 여신은 근동 지역에서 다산을 상징하는 어머니신이었다. 사람들은 이 아데미 신상이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생각했다. 아마도 하늘에서 떨어진 운석의 모양이 유방을 많이 가진 여성의 모습 같아서 경배의 대상이 된 것으로 보인다. 아데미 축제는 춘분경에 진행되었다.   이 때 샤프란으로 치장한 소녀들이 아데미 여신상 앞에서 출산하는 모습의 춤을 추었고, … 더 읽기

고대 신화 속의 불 [성경배경96]

고대 신화 속의 불

고대 신화 속의 불 [성경배경96] “데살로니가 후서 1장 7절” 고대 신화 속의 불에 대해서 고대인들은 불을 신의 전유물로 보았다. 그리스 시인 헤시오도소의 신통기(Theo-gony)에 따르면 프로메테우스는 신들로부터 불을 훔쳐 인간에게 전해 주었기 때문에 제우스의 분노를 샀고, 그 결과 코카서스 산의 바위에 쇠사슬로 묶여 매일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는 벌을 받는다.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불’은 인격화되어 화로와 불씨의 … 더 읽기

로마 시민권의 특권과 작명법 대해서citizenship in the Rome[성경배경95]

로마 시민권의 특권과 작명법 대해서citizenship in the Rome[성경배경95]

로마 시민권의 특권과 작명법 대해서citizenship in the Rome [성경배경95] ‘로마 제국의 국민(주민)으로서 누리는 기본적인 권리’를 말한다. 즉, 로마 제국의 한 구성원으로서 법적으로 그 신분이 보장되고, 또 재산이나 직업, 사상, 신앙 등의 자유가 보장되며, 투표 등의 방법으로 국정에도 직·간접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1. 로마시민권 ① 로마시민권은 본래 출생에 의해 좌우되었다. 즉, 로마 성읍 사람들만이 … 더 읽기

성경 속 떨어진 이삭줍기gleaning[성경배경94]

성경 속 떨어진 이삭줍기gleaning[성경배경94]

성경 속 떨어진 이삭줍기gleaning[성경배경94] 성경 속 떨어진 이삭줍기(gleaning) 성경 시대 경제적으로 어려운 자들이 수확(추수)이 끝난 타인의 밭에 떨어진 이삭들(곡초나 과수 등의 농작물의 열매로서 땅에 흘리어 처진 것들)을 주워 생활하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율법에 따르면, 추수 때에 자기 소유의 밭에서 수확을 마친 후 땅에 떨어진 이삭을 주워 모으는 일을 삼가야 했다. 이는 가난한 자나 나그네, 타국인 … 더 읽기

헬라와 로마의 12신[성경배경93]

헬라와 로마의 12신[성경배경93]

헬라와 로마의 12신 [성경배경93] 헬라와 로마의 12신 (사도행전14장11-12절) 헬라명 로마명 속성 제우스 주피터 하늘의 신, 기후의 조절자, 모든 신과 인간을 다스리는 주신 헤라 주노 제우스의 부인, 결혼의 여신 데메트르 케레스 농업의 여신 포세이돈 넵툰 바다의 신 하데스 플루토 지하 세계의 신 아레스 마르스 전쟁의 신 헤파이스토스 불칸 대장장이 신, 불의 신 디오니소스 바커스 술의 신 아프로디테 비너스 … 더 읽기

하나님이 현현하시는 이유 [성경배경92]

고대 신화 속의 불

하나님이 현현하시는 이유 [성경배경92] 구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이 여러 차례 나타나셨다. (출애굽기 19:16-19)와 같이 하나님이 직접 나타나시는 이런 현상을 데오파니(Theophany)라고 부른다. 하나님은 상징적인 방법을 동원하거나 천사를 보내 그의 백성에게 나타나신다. 구약에서 하나님이 직접 백성에게 나타나시는 경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중대한 사건을 소개하기 위해 (출 3:1-12) 2. 하나님의 계획을 자세히 계시하기 위해 (창 15:1-17; 28:12-17) 3. 언제나 초자연적인 … 더 읽기

고대 이스라엘백성이 입었던 옷 의복 [성경배경91]

고대 신화 속의 불

고대 이스라엘백성이 입었던 옷 의복 [성경배경91] 가나안과 이스라엘에서 울은 가장 흔한 옷감이었다. 반면에 베는 고가의 옷감이었다. 이스라엘에서 베는 여리고 부근에서 생산되었으며 이집트에서 난 베가 가장 고급품이었다. 의복을 저당 잡은 기록이나 의복을 금과 은처럼 선물로 주었다는 기록을 볼 때 제대로 만든 옷은 귀중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오직 상류층만이 베옷이나 염색된 옷을 입었다. 특히 보라색으로 물들인 옷은 … 더 읽기

구브르 섬의 살라미와 바보[성경배경90]

구브르 섬의 살라미와 바보[성경배경90]

구브르 섬의 살라미와 바보[성경배경90] 길이가 약225킬로미터, 가장 넓은 너비가 100킬로미터가 되는 구브로 섬의 정확한 명칭은 키프로스(Cyprus)다. 구브로는 바나바의 고향으로 구리 광산으로도 유명했다. 영어의 구리(copper)가 바로 이 섬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이 섬원주민들은 어머니 신을 숭배했으며, 생식과 다산의 가나안 신인 아스타르테(Astarte)를 숭배했다. 후에 헬라인들은 구브로 섬을 아프로디테, 곧 사랑의 여신인 비너스의 탄생지로 만들었다. 주전 57년에 로마가 이 … 더 읽기

이방인에게도 금기 음식이 있었다[성경배경89]

고대 신화 속의 불

이방인에게도 금기 음식이 있었다 유대인에게는 복잡하고 정교한 음식 규정들이 있다. 그들은 음식 규정을 지키는 것이 정결함을 이루는 방법이라고 믿었다. 그런데 이런 음식 규정은 유대인만의 것이 아니었다. 고대 근동 문화에서는 다음과 같은 음식 규정이 있었다. 1. 애굽: 애굽인들은 유대인들과 달리 양을 혐오감을 주는 동물로 여겼다. 그들은 특별한 날에 유대인들이 부정하게 여기는 돼지고기를 먹었다. 2. 앗수르와 바벨론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