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다케(Didache) 50

디다케(Didache) 디다케란 ‘가르침’이라는 뜻이다. 이는 초대교회의 문서 중에 하나로 문답식 교육이나 예배, 목회 등에 필요한 지시사항을 담은 일종의 교훈서를 말한다. 속사도 문헌이자 신약성경 외경 가운데 하나이며 다양한 자료들을 하나로 편집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작자 미상. 시리아나 팔레스타인에서 사도시대 직후인 100-150년경에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1056년에 기록된 필사본의 표제는 [12사도의 교훈](Teaching of 12 Disciples) 또는 헬라오로 … 더 읽기

길가메쉬(Gilgamesh) 서사시 49

길가메쉬(Gilgamesh) 서사시 49 수메르의 도시국가 우룩(Uruk, 성경의 에렉, 창 10:10)의 제1왕조 5대왕. 메소포타미아 문학의 원형인 대서사시의 주인공으로 소개된다. 이 길가메쉬 서사시(Epic of Gilgamesh)는 신화, 전설, 문학, 역사 등 독립된 3천 행의 시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길가메쉬를 영웅으로 한 12편의 역사시로 재구성된 것은 우르 제3왕조 슐기(Shulgi) 왕 때로 추정된다. 길가메쉬 서사시 내용 우룩의 왕인 길가메쉬가 자신을 파멸에 … 더 읽기

힌놈의 골짜기 48

힌놈의 골짜기 48 힌놈의 골짜기, 게헨나(Gehenna) 힌놈은 ‘애곡’을 의미하며 게-힌놈(애곡의 골짜기, 느 11:30), 힌놈의 골짜기는 헬라어로 ‘게엔나’이다.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는 11회 나온다. 힌놈의 골짜기는 원래 예루살렘의 남동부로 뻗어 있는 히브리어 지명 와디에르 라바비(Wadier-Rababi)인 힌놈의 아들(또는 아들들)의 골짜기를 의미했다(수 15:8; 대하 33:6). 이 골짜기에서 아이가 제물로 바쳐졌다(왕하 16:3; 왕하 21:6). 이 골짜기는 황소의 형상을 한 우상 … 더 읽기

다윗의 별, 뿌리, 열쇠, 자손의 의미 47

다윗의 별, 뿌리, 열쇠, 자손의 의미 47 1. 다윗의 별(Star of David) 두 개의 정삼각형이 맞물린 육각별 모양(헥사그램, Hexagram)을 가리킨다. 히브리어 명칭은 ‘마겐 다윗’인데 이는 ‘다윗의 방패’라는 뜻이다. 오랫동안 유대인 또는 유대교를 상징하는 표시이며, 오늘날 이스라엘 국가에 새겨져 있는 문양이다. 전승에 따르면, 다윗 왕의 아들 솔로몬 왕이 이스라엘과 유다를 통합한 후 다윗의 별을 히브리 왕의 … 더 읽기

드라빔(Teraphim)의 의미 46

드라빔(Teraphim)의 의미 46   드라빔, 가족 수호신 (Teraphim, household gods, guardian deity) 드라빔은 고대 세계에서 가정의 수호신이나 점치는 일에 사용된 우상이다. 히브리어로 ‘테라핌’은 ‘평안을 누리다’, ‘편안하게 살다’는 뜻의 ‘타라프’에서 파생된 말로 추정되는데 가정의 안녕을 지켜 주고 가족의 행복을 가져다 준다고 믿은 일종의 우상을 가리킨다. 일명 ‘가족 수호신’이라고 하며 단순히 ‘우상’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드라빔은 가정의 안전과 … 더 읽기

45. 디아스포라의 의미

45. 디아스포라의 의미 개요 헬라어, 디아스포라의 의미는 ‘씨앗을 뿌림’, ‘흩어짐’, ‘분산’ 혹은 ‘흩어져 사는 자’, 흩어진 곳’이란 뜻이다. 디아스포라는 유대인으로서 신앙적, 경제적, 정치적 이유 등으로 고향에서 타지로 이주한(이스라엘 밖의 이방 세계에 정착하여 사는)자들을 일컫는 말이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을 가리키기도 한다. 사도 베드로나 주의 동생 야고보는 하늘나라를 본향으로 삼고 살아가는 흩어진 지상 교회들을 디아스포라에 비유하고 있는데, … 더 읽기

이스라엘 절기 희년 44

이스라엘 절기 희년 44 이스라엘 절기 희년 44 히브리어로는 ‘요벨의 해’란 뜻입니다. 여기서 요벨은 숫양의 뿔을 의미하는데, 요벨의 해란 곧 숫양의 뿔을 불며 해방을 선포하는 해를 가리킵니다. 희년은 이스라엘에서 일곱 번째 안식년이 지난 다음 해, 곧 50년째 되는 해를 가리킵니다(레 25:8-12). 희년 규례 (Year of Jubilee) 희년이 되면 속죄일(유대력 7월 10일)에 숫양 뿔로 된 나팔을 … 더 읽기

시기별 이스라엘 절기 43

시기별 이스라엘 절기 43

시기별 이스라엘 절기 43 이스라엘의 절기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Josephus, A.D.37~100)는 모세가 출애굽 사건을 중심으로 하는 니산 월을 출발점으로 각종 성일과 정기들을 지키도록 했지만, 동시에 일상생활에서는 민간력을 그대로 쓰게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히브리인들은 민간력과 종교력 이 두 가지 월력을 동시에 사용했다.   천지창조의 시기가 가을이라는 히브리인들의 전통적인 생각을 좇아(이 전통은 모세의 법에도 반영됨, 출 23:16), 농사와 목축 등 … 더 읽기

이스라엘 절기 맥추절 42

이스라엘 절기 맥추절 42 이스라엘 절기 맥추절 42 밀이나 보리를 수확한 후 하나님께 첫 열매를 드리는 추수감사절로 ‘첫 열매의 날’로도 표현합니다. 유월절이 지나고 7주째 지켰다고 해서 ‘칠칠절’이라고도 합니다. 신약 시대에는 유월절(무교절) 중 누룩 없는 떡을 먹는 둘째 날부터 계산해서 제50일째 지켰기 때문에 ‘오순절’이라고 하며 양력으로 5-6월경에 해당됩니다. 맥추절(Feastof Harvest) 밀을 수확한 후 그 첫 소산을 … 더 읽기

분열 왕국 시대 연대표 41

분열 왕국 시대 연대표 41 분열 왕국 시대 연대표 41 하나님나라는 하나님의 통치가 미치는 모든 영역을 뜻한다는 점에서 왕권과 맥을 같이하는 표현입니다. 그래서 이스라엘의 왕권은 인본주의가 아닌 신본주의에 입각합니다. 그러나 인간은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위해 왕과 같은 제사장의 사명을 위하기보다 자신의 왕국을 만드는데 급급했습니다.    남북왕국 연대표 이스라엘의 왕정 제도의 유래 이스라엘에서는 사무엘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