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15장 30-41절 강해 [하루말씀]

사도행전 15장 30-41절 강해 [하루말씀]

[성경말씀]

30 그들이 작별하고 안디옥에 내려가 무리를 모은 후에 편지를 전하니 31 읽고 그 위로한 말을 기뻐하더라 32 유다와 실라도 선지자라 여러 말로 형제를 3)권면하여 굳게 하고 33 얼마 있다가 평안히 가라는 전송을 형제들에게 받고 자기를 보내던 사람들에게로 돌아가되 34 (없음) 35 바울과 바나바는 안디옥에서 유하며 수다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주의 말씀을 가르치며 전파하니라 36 며칠 후에 바울이 바나바더러 말하되 우리가 주의 말씀을 전한 각 성으로 다시 가서 형제들이 어떠한가 방문하자 하고

37 바나바는 마가라 하는 요한도 데리고 가고자 하나 38 바울은 밤빌리아에서 자기들을 떠나 함께 일하러 가지 아니한 자를 데리고 가는 것이 옳지 않다 하여 39 서로 심히 다투어 피차 갈라서니 바나바는 마가를 데리고 배 타고 구브로로 가고 40 바울은 실라를 택한 후에 형제들에게 주의 은혜에 부탁함을 받고 떠나 41 수리아와 길리기아로 다니며 교회들을 견고하게 하니라

[하루말씀]

이제 누가는 오늘 말씀을 통해서 바울과 바나바 그리고 예루살렘에서 파송된 유다와 실라가 전한 예루살렘회의의 결정사항에 대한 결과와 반응을 기록합니다.

안디옥교회의 성도들은 이방인이 구원받기 위해서  할례나 율법을 꼭 지킬 의무가 없다는 말을 듣고 기뻐했습니다. 특히 누가는 31절에 이 편지를 ‘위로한 말’이라고 표현하는데요. 그마만큼 이방인들이 이 구원의 문제 때문에 많이 괴로웠던 것을 알려줍니다. 그래서 유다와 실라도 여러 말로 형제를 권면하여 굳게 하는 일에 동참합니다.(32) 그들이 선지자로써 이곳에서 하는 일은 ‘믿음의 공동체를 세우고 그들의 믿음을 굳게’(의역) 하는 일입니다. 누가가 기록한 ‘굳게 하다’(에프스테리조)라는 동사를 ‘한 무리의 사람들을 세워 주다’라는 의미로 사용한다.1(행 15:41, 18:23; 눅 22:32)

그들은 그렇게 얼마 있다가 자기의 사명을 마치고 예루살렘교회로 돌아갑니다. 2개역성경에서는 34절이 없지만, KJV 34절 실라는 그들과 함께 머물기로 작정하고(Notwithstanding it pleased Silas to abide there still)라고 기록한다. 이 구절을 기록한 이유는 40절에 가서 바울이 실라와 함께 또 다른 전도여행을 떠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40절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록이 필요할지 모르지만 사실상 33절과 40절 사이에 시간적 간격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실라가 지금 예루살렘에 갔다 왔어도 자연스러운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임의의 해석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남은 바울과 바나바는 안디옥에 거하며 다른 여러 사람들(수다한)과 주님의 말씀을 가르치고 전파’했습니다. 그리고 바울은 복음을 전했던 지역을 다시 돌아가서 그들이 어떤 상태에 있는 지 점검하길 원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바나바와 바울이 마가 요한을 데리고 갈 것인지를 놓고 대립하게 됩니다.

바나바는 마가 요한도 데리고 가려고 했고 바울은 반대했습니다.

바울이 반대하는 이유는 38절 밤빌리아에서 자기들을 떠나 함께 일하러 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여기에서 마가가 떠났다는 표현은 사실 그들을 버렸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이것을 그가 ‘함께 일하러 가지 아니한 것’이라고 못박아 말합니다. 마가 요한이 버린 일이 뭘까요? 바로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입니다.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은 성령님의 부르심을 받아 행하는 일입니다. (행 13:2) 주를 섬겨 금식할 때에 성령이 이르시되 내가 불러 시키는 일을 위하여 바나바와 사울을 따로 세우라 하시니 그러나 그것을 포기한 것은 성령님의 명령을 버린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문제로 바울과 바나바가 갈라서게 되고 서로 다른 길로 선교여행을 떠나게 되었습니다.

사실 (골로새서 4:10)에서 보면 마가 요한은 바나바의 조카임을 알게 됩니다. “나와 함께 갇힌 아리스다고와 바나바의 생질 마가와” 결국 바나바는 마가 요한을 데리고 자신의 고향인 구브로로 향하고(39) 바울은 실라를 데리고 다른 여행지로 떠납니다.  바울이 실라를 선택한 이유는 그가 이방인 선교에 마음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실라는 로마 시민권자여서 여행에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교회는 뭉쳐야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합’이 맞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이럴 때 우리가 해야 될 일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일을 하는 것입니다. 특별히 우리 각자에게 맡겨진 복음전하는 일을 기쁨으로 할 때 하나님께서 다시금 연합되게 하시고 선하게 우리를 인도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하시며 함께 기도하겠습니다.